부동산 거래 후에는 반드시 거래 내역을 신고해야 하며, 이러한 정보는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수 또는 매도 전, 주변 시세를 파악하기 위해 이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매우 유용합니다. 그러나 허위 신고가 있을 수 있으므로, 최근 2~3년간의 거래 내역을 기준으로 평균을 내는 것이 좋습니다.
실거래가 조회 방법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검색하기
- 네이버에서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검색합니다.
- 검색 결과로 나타나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 메인 페이지 오른쪽에 있는 “빠른 실거래가 조회” 박스를 클릭합니다.
- 원하는 부동산 종류와 지역을 선택한 뒤 검색 버튼을 누릅니다.
이 과정을 통해 검색한 부동산의 거래 내역이 나타나며, 면적은 제곱미터(m²)로, 금액은 만 원 단위로 표시됩니다. 상세 주소는 표시되지 않지만, 동네명과 지목, 용도지역 등의 정보로 대략적인 시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실거래가 자료 엑셀로 다운로드하기
- 웹페이지에서 정보 조회가 불편하다면, 월별 실거래가 정보를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 메인 페이지 상단의 “실거래가 자료제공” 메뉴를 선택합니다.
- 원하는 부동산 종류와 년도를 선정 후 검색합니다.
- 나타난 월별 실거래가 목록에서 원하는 항목을 클릭하여 상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상세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엑셀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다운로드한 엑셀 파일에는 상세 주소, 면적, 금액, 건축 연도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 보다 빠르게 자료를 찾을 수 있습니다.
엑셀 뷰어 다운로드하기
엑셀 프로그램이 없는 경우,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엑셀 뷰어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1. 국토교통부 홈페이지의 왼쪽 사이드바에 있는 “Excel Viewer” 버튼을 클릭합니다.
2. 마이크로소프트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하여 엑셀 뷰어를 설치합니다.
엑셀 뷰어 외에도, 한컴오피스나 네이버 문서 도구를 통해서도 파일을 열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실거래가 조회 시 어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나요?
실거래가 조회를 통해 동네명, 면적, 거래 금액, 지목과 용도지역 등의 기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문2: 엑셀 파일로 다운로드한 실거래가는 어떤 형식인가요?
다운로드된 엑셀 파일은 .xls 형식으로, 엑셀 2007 버전에서도 열 수 있습니다.
질문3: 허위 신고된 실거래가는 어떻게 확인하나요?
허위 신고는 어려운 부분이므로, 여러 해를 기준으로 평균 거래가를 비교하여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4: 실거래가 조회 외에 다른 부동산 정보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부동산 관련 정보는 국토교통부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동산 관련 포털 사이트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질문5: 실거래가 조회에 대한 법적 책임은 무엇인가요?
부동산 거래 시 신고의무를 어길 경우 법적 제재가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정확한 정보를 신고해야 합니다.
이전 글: 갱신청구권 거절 후 임대차 확인하는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