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로 건너뛰기

카카오톡 자동 업데이트 끄기 및 해제 방법



카카오톡 자동 업데이트 끄기 및 해제 방법

많은 사용자들이 카카오톡을 포함한 앱의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최신 버전의 앱을 유지할 수 있는 편리한 방법이지만, 때로는 원치 않는 버전으로 자동 업데이트되는 불편함을 겪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카카오톡의 자동 업데이트를 끄는 방법과 개별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전체 앱 자동 업데이트 중지 방법

전체 앱의 자동 업데이트를 중지하면 모든 앱이 사용자가 직접 업데이트를 실행하기 전까지는 변경되지 않습니다. 이는 카카오톡을 포함한 모든 앱에 적용됩니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안드로이드)

  1.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실행합니다.
  2. 우측 상단의 프로필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3. 설정 메뉴로 이동한 후 ‘네트워크 기본 설정’을 클릭합니다.
  4. ‘앱 자동 업데이트’ 항목에서 “앱 자동 업데이트 안 함”을 선택합니다.

앱스토어(iOS)

  1. 아이폰의 설정을 실행합니다.
  2. 앱스토어 항목을 선택합니다.
  3. ‘자동 다운로드’에서 ‘앱 업데이트’ 항목을 끕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모든 앱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지 않으며, 보안 패치나 중요한 업데이트는 수동으로 확인 후 실행해야 합니다.

 

👉 ✅ 상세 정보 바로 확인 👈

 

카카오톡 개별 앱 자동 업데이트 해제 방법

전체 앱의 자동 업데이트를 막는 대신 특정 앱만 선택적으로 자동 업데이트를 끌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만 따로 해제하면 다른 앱은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며, 카카오톡은 사용자가 직접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구글 플레이 스토어

  1.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카카오톡을 검색합니다.
  2. 앱 상세 페이지의 오른쪽 상단에서 점 3개 메뉴를 선택합니다.
  3. “자동 업데이트 사용” 체크를 해제합니다.

안드로이드 사용자라면 플레이스토어에서 카카오톡만 개별적으로 업데이트를 조정할 수 있어 더 유연한 관리가 가능합니다.

결론

이번 글에서는 카카오톡의 자동 업데이트 끄기와 해제 설정 변경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전체 앱의 자동 업데이트를 막으면 관리가 간편해지고, 특정 앱만 해제하면 필요한 앱은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면서 카카오톡을 직접 관리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후 후기가 좋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앱의 자동 업데이트를 해지한 후, 사용자가 직접 업데이트하거나 다시 자동 업데이트를 활성화하는 것이 안정적일 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전체 앱 자동 업데이트를 끄면 어떤 점이 좋나요?

모든 앱의 자동 업데이트를 끄면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만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어, 불필요한 업데이트로 인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의 자동 업데이트를 끄면 기능이 제한되나요?

자동 업데이트를 끄더라도 기존 기능은 그대로 유지됩니다. 단, 중요한 보안 패치나 새로운 기능 추가는 수동으로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업데이트 후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업데이트 후 문제가 발생한다면, 해당 앱의 자동 업데이트를 해제하고 사용자가 직접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거나, 버그 수정 패치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 글: 반도체 장비 및 부품 관련주 20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