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바우처 제도는 저소득 취약계층의 식품 접근성을 높이고 국내산 신선 농산물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된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이 바우처는 전자카드 형태로 제공되어 채소, 과일 등 다양한 농식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2023년의 경우, 신청은 2월 10일부터 12월 31일까지 가능합니다. 아래에서는 농식품바우처의 신청 방법, 지원 대상, 지원 금액 등을 자세히 소개합니다.
농식품바우처 지원 금액 및 사용 기간
지원 금액
농식품바우처는 소득 기준과 가구원 수에 따라 지원 금액이 달라집니다.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의 가구가 지원 대상입니다.
가구원 수 | 지원 금액 |
---|---|
1인 | 40,000원 |
2인 | 57,000원 |
3인 | 69,000원 |
4인 | 80,000원 |
5인 | 89,000원 |
6인 | 98,000원 |
7인 | 106,000원 |
8인 | 113,000원 |
9인 | 120,000원 |
10인 이상 | 126,000원 |
사용 기간
- 신청 기간: 2023년 2월 10일부터 12월 31일까지
- 사용 기간: 매월 1일에 카드 금액이 재충전되며, 당월 말일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특히 3월은 3월 2일부터 충전이 이루어집니다.
사용 품목
농식품바우처로 구매 가능한 품목은 국내산 채소, 과일, 흰 우유, 신선 계란, 육류, 잡곡, 꿀, 두부류, 단순 가공 채소류, 산양유 등입니다. 기타 품목은 구매할 수 없습니다.
농식품바우처 신청 방법
신청 장소
농식품바우처의 신청은 시범지역 18개 지자체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가능합니다. 주요 지역은 부산, 인천, 대구, 강원도,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등입니다.
신청 방법
신청자는 직접 방문하여 농식품바우처 카드 신청 및 설문조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단, 대리인이나 우편·팩스 신청이 필요한 경우, 주소지 관할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확인 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농식품바우처 지원 대상
농식품바우처의 지원 대상은 중위소득 50% 이하의 가구로,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이 포함됩니다. 중위소득은 전체 가구의 소득 순위에서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 구간
- 1인 가구: 2,077,892원
- 2인 가구: 3,456,155원
- 3인 가구: 4,434,816원
- 4인 가구: 5,400,964원
- 5인 가구: 6,330,688원
- 6인 가구: 7,227,981원
농식품바우처 사용처
농식품바우처는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오프라인에서는 농협 하나로마트, 로컬푸드 직매장, GS25 편의점 등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온라인에서는 농협몰과 남도장터에서 구매할 수 있습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한 분들을 위해 꾸러미 배송 서비스도 제공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농식품바우처는 어떻게 신청하나요?
2023년 2월 20일부터 11월 30일까지 시범지역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방문 신청 가능합니다.
농식품바우처 카드를 사용하려면 회원가입이 필요한가요?
회원가입은 필수가 아니지만, 카드의 한도 및 잔액 조회를 위해 회원가입 후 카드번호를 등록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농식품바우처 카드를 타인에게 양도할 수 있나요?
농식품바우처 카드는 개인에게 발급되므로 타인에게 양도할 수 없습니다. 위반 시 처벌될 수 있습니다.
농식품바우처 카드는 언제부터 받을 수 있나요?
신청 후 발급은 2023년 2월 20일부터 가능합니다.
농식품바우처 카드의 지원금은 언제까지 사용해야 하나요?
2023년 3월부터 11월까지 사용 가능하며, 매월 1일에 재충전되어 당월 말일까지 사용해야 합니다.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이월되지 않습니다.
이전 글: 원격의료 관련주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