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심사평가위원회에서 공개한 심의 사례는 건강보험 급여의 기준과 관련된 중요 정보를 제공합니다. 2024년 6월에 발표된 심의 사례를 통해 다양한 치료법의 요양 급여 대상 여부를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개요
이번 공개 심의는 총 18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Eculizumab과 Ravulizumab 주사제의 요양급여 여부, 심실 보조장치 치료술(VAD), 심율동 전환 제세동기(ICD) 및 심장재동기화치료(CRT)의 요양급여 여부 등이 포함됩니다.
심의사례 목록
- Eculizumab 주사제 및 Ravulizumab 요양급여 여부
- 심실 보조장치 치료술(VAD) 요양급여 여부
- 심율동 전환 제세동기(ICD) 요양급여 여부
- 심장재동기화치료(CRT) 요양급여 여부
- Burosumab 주사제 요양급여 여부
- 조혈모세포이식 요양급여 여부
- Nusinersen sodium 주사제 및 Risdiplam 경구제 요양급여 여부
- Onasemnogene abeparvovec 주사제 요양급여 여부
- 전이성 대장암 환자에게 실시한 간절제술 인정 여부
심율동 전환 제세동기(ICD) 요양급여
심의 사례 1
- 환자 정보: 남성, 58세
- 신청 항목: 심율동 전환 제세동기 거치술(ICD 경정맥)
- 결과: 승인
- 심의 내용: 이 환자는 4차례 심실세동이 발생하였고, 심실세동의 원인은 허혈성 심질환으로 판단되지 않아 심율동 전환 제세동기 거치술이 승인되었습니다.
심의 사례 2
- 환자 정보: 여성, 68세
- 신청 항목: 심율동 전환 제세동기 거치술(ICD 경정맥)
- 결과: 승인
- 심의 내용: 혈관연축성 협심증 기왕력이 있는 환자로, 심실세동이 발생하여 심율동 전환 제세동기 거치술이 승인되었습니다.
심장재동기화치료(CRT) 요양급여
심의 사례
- 환자 정보: 남성, 71세
- 신청 항목: 심장재동기화치료(CRT-D)
- 결과: 불승인
- 심의 내용: 심근경색으로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은 환자로 QRS 간격이 기준에 부합하지 않아 심장재동기화치료가 불승인되었습니다.
전이성 대장암 환자 간절제술
심의 사례 1
- 환자 정보: 남성, 64세
- 청구 내역: 간절제술
- 결과: 불승인
- 심의 내용: 원발 종양에 대한 수술적 치료가 시행되지 않아 간절제술이 의학적으로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되었습니다.
심의 사례 2
- 환자 정보: 남성, 36세
- 청구 내역: 간절제술
- 결과: 불승인
- 심의 내용: 다발성 간전이 소견이 확인되어 광범위 간절제술이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심의 사례는 어떻게 공개되나요?
심의 사례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정기적으로 공개하며, 관련 근거와 심의 결과를 포함합니다.
요양급여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요양급여 신청은 의료기관에서 환자의 진료 기록을 바탕으로 진행되며, 심의 결과에 따라 승인 여부가 결정됩니다.
심율동 전환 제세동기(ICD)란 무엇인가요?
심율동 전환 제세동기는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뛰는 경우 이를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한 의료 기기입니다.
CRT(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의 효과는?
CRT는 심부전 환자에서 심장 박동을 조정하여 심장의 기능을 개선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치료법입니다.
이전 글: 반도체 장비 및 부품 관련주 20종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