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 PC 버전의 업데이트는 자동으로 진행되어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업데이트를 막는 절차
업데이트 파일 이름 변경
첫 번째 단계는 카카오톡의 업데이트 파일 이름을 변경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카카오톡에서 해당 파일을 찾지 못해 업데이트가 진행되지 않습니다.
- 파일 탐색기 열기: ‘탐색기’를 열고, 상단의 ‘보기’ 탭에서 ‘숨긴 항목’을 체크하여 숨겨진 파일을 표시합니다.
- 경로 이동: ‘내 컴퓨터 → 로컬 디스크(C) → 사용자 → 본인 사용자명 → AppData → Local → Kakao → kakaoTalk’로 이동합니다.
- 업데이트 파일 찾기: ‘KakaoUpdate.exe’ 파일을 찾습니다.
- 이름 변경: 해당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여 카카오톡이 업데이트 파일을 찾지 못하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KakaoUpdate_disabled.exe’로 변경합니다.
Dummy 파일 생성하기
업데이트 파일의 이름을 변경한 후, 카카오톡이 해당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하지 않도록 가짜 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직접 파일 생성
- KakaoUpdate.exe가 있던 폴더에서 빈 공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합니다.
- ‘새로 만들기’에서 ‘텍스트 문서’를 선택합니다.
- 생성된 텍스트 문서의 이름을 ‘KakaoUpdate.exe’로 변경합니다.
명령어로 파일 생성
- 파일 경로 창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fsutil file createnew KakaoUpdate.exe 0
- Enter 키를 눌러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원상복구하는 방법
진행의 역순으로 복구
- 생성한 가짜 파일인 KakaoUpdate.exe를 삭제합니다.
- 원본 업데이트 파일의 이름을 원래대로 변경합니다.
카카오톡 재설치
파일을 삭제한 경우, KakaoUpdate.exe가 자동으로 생성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카카오톡을 재설치하면 업데이트 파일이 복구됩니다.
마치며
카카오톡 PC 버전의 업데이트를 차단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업데이트는 기본적으로 필요하지만, 필요에 따라 이를 차단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절차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카카오톡 업데이트를 왜 막아야 하나요?
업데이트가 자주 발생하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습니다.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중일 때 갑작스러운 업데이트는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업데이트 차단 후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하나요?
업데이트를 차단한 후 문제가 생기면, 원상복구 절차를 통해 업데이트 파일을 복원하거나 카카오톡을 재설치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가짜 파일은 어떻게 작동하나요?
가짜 파일은 카카오톡이 업데이트를 시도할 때 실제로 존재하는 파일로 인식되어, 자동 생성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업데이트를 차단한 후에도 카카오톡을 사용해도 괜찮나요?
네, 업데이트를 차단해도 카카오톡은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안과 기능 개선을 위해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 글: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방법